본문 바로가기
  • 선하심과 인자하심이 반드시 나를 따르리니
  • 나 지혜는 명철로 주소를 삼으며 지식과 근신을 찾아 얻나니
  • 나 지혜는 명철로 주소를 삼으며 지식과 근신을 찾아 얻나니
삶의지혜/까치소리

[스크랩]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ㅣ 고종석

by 山海鏡 2008. 9. 11.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

가시내… 서리서리… 내 영혼 적시는 울림


누구에게나 모국어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언어다.
그것은 아름다움이 그 심판관의 편견에 깊숙이 연루돼 있다는
뜻이기도 하고, 아름다움을 느끼기 위해선
먼저 깊이 알아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자라서 외국어로 배운 언어에서도 아름다움을 느낄 수는 있겠으나,
그 아름다움에는 문화적 허영이라는 불순물이 섞여 있기 쉽다.
프랑스 바깥에서 프랑스 문화를 숭배하는 사람들이
제 몸뚱어리에도 이물감을 주는 프랑스어를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언어로 꼽는 것 따위가 그 예다.

마흔일곱 해 동안 한국어를 써온 한 남자에게
가장 아름답게 들리는 낱말 열 개를 벌여놓는다.
 
 
하나, 가시내.

컴퓨터 모니터 속 활자 ‘가시내’에는 붉은 밑금이 그어져 있다.
그것은 이 낱말이 규범 한국어가 아니라는 뜻이다. 이 말은 한국어 사전에 올라있지 않다.
그것이 표준어 ‘계집애’의 서남 방언이기 때문이다.
‘가시내’라는 말에 깊은 울림을 입힌 이로 서남 출신의 시인 서정주가 있다.

“가시내두 가시내두 가시내두 가시내두/ 콩밭 속으로만 작구 다라나고/
울타리는 막우 자빠트려 노코/ 오라고 오라고 오라고만 그러면”(‘입마춤’)이나,
“눈물이 나서 눈물이 나서/ 머리깜어 느리여도 능금만 먹?杵底? 어쩌나…
하늬바람 울타리한 달밤에/ 한 집웅 박아지꽃 허이여케 피었네”(‘가시내’) 같은 시행에서,
가시내는 순애와 애욕을 동시에 체현하고 있다.
사랑과 관련된 정서적 소구력의 크기에서, 표준어 ‘계집애’는 도저히 ‘가시내’에 다다를 수 없다.

둘, 서리서리.

부사 ‘서리서리’는 동사 ‘서리다’에서 나왔다.
서린다는 것은 (국수나 새끼 따위를) 헝클어지지 않게 빙빙 둘러서 포개 감는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서리서리’는 포개어 감기는 모양과 관련 있는 부사다.
국수 뭉치를 세는 단위 ‘사리’가 ‘서리서리’와 동원어(同源語)임은 물론이다.
‘서리서리’는 사랑의 부사다. 이 낱말을 사랑의 부사로 만든 사람은 황진이라는 여자다.
이 여자의 유명한 시조 한 수는 이렇다.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 니불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애인과 떨어져 있는 황진이에게 겨울 밤은 한없이 길다.
그런데 그 밤은 애인과 함께라면 너무나 빨리 새버릴 밤이다.
시간의 빠르기는 각자의 심리 상태에 달렸으니 말이다.
그래서 우리 시인은 이 밤을 여투어두기로 한다.
그녀는 밤을 한 토막 잘라내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어놓기로 한다.
애인이 온 날 밤에 굽이굽이 펴기 위해서.
황진이의 놀라운 상상력은 시간을 공간으로, 물질로 바꿔놓고 있다.

셋, 그리움.

그리움은 결핍의 정서적 효과다.
프랑스어 화자들은 “나는 네가 그리워”를 “너는 내게 결핍돼 있어”(Tu me manques)라고 표현한다. 모든 사랑의 시는 그리움의 시다.
사랑은 결핍과 부재의 상태에서 가장 격렬하기 때문이다.
“아! 그립다/ 내 혼자 마음 날같이 아실 이/ 꿈에나 아득히 보이는가”(김영랑의 ‘내 마음을 아실 이’)나
“‘그립다’ 생각하면/ ‘그립다’ 생각하는 아지랑이”(서정주의 ‘아지랑이’) 같은 시행에서
그리움은 사사로운 감정이지만,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이 피 묻은 그리움”(이성부의 ‘벼’)이나
“그러나 불현듯, 어느 날 갑자기/ 미친 듯이 내 가슴에 불을 지르는/ 그리움은 있다”
(김정환의 ‘지울 수 없는 노래’) 같은 시행에서 그리움은 정치적 사랑과 이어져 있다.
그 둘은 다른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둘 다 빈 데를 채우려는 마음의 움직임이다.
그 마음의 움직임을 좀더 객관적으로는 ‘기다림’이라 부른다.

넷, 저절로.

‘저절로’는 인텔리전트빌딩이나 하이테크파크의 작동 원리다.
그것은 인간을 노동에서 해방시키는, 또는 노동에서 배제하는 새로운 사회의 부사다.
다시 말해 ‘저절로’의 공간은 ‘인간이 거세된 인공’의 공간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 자연의 공간이기도 하다.

16세기 문신 김인후(金麟厚)는 “청산도 절로절로 녹수도 절로절로/ 산(山) 절로 수(水) 절로
산수간에 나도 절로/ 이 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라 노래한 바 있다.
‘저절로’는 애씀이나 집착을 넘어선, 마음과 몸의 가장 높은 단계이기도 하다.
인위와 자연을 동시에 품고 있는 것이 ‘저절로’의 매력 또는 마력이다.

다섯, 설레다.

설렘은 마음의 나풀거림이다.
그것은 정서적 정신적 미숙의 증상일 수도 있다.
부동심(不動心)은 동서고금의 많은 현인들이 다다르려 애쓴 이상적 마음상태였다.
그러나 설렘이 없다면 생은 얼마나 권태로울 것인가.
소풍 전날의, 정인(情人)을 기다리는 찻집에서의, 설날 해돋이 직전의 설렘을
기억하고 되새기는 것은 생의 정당한 사치다.
그것은 생의 밋밋함을 눅이는 와사비다.

여섯, 짠하다.

내가 늘 펼치는 한국어 사전에는 ‘짠하다’가 “지난 일이 뉘우쳐져 못내 마음이 언짢고 아프다”로
풀이돼 있다.
내가 굳이 사전을 펼쳐본 것은 컴퓨터 모니터 속 활자 ‘짠하다’에 붉은 밑금이 생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는 당연히 밑금이 그어지리라 지레짐작했다.
이 말을 서남 방언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사전의 설명이 표준어 ‘짠하다’의 올바른 정의일지는 모르겠으나, 내가 아는 ‘짠하다’는
사전의 정의와 뉘앙스가 조금 다르다.

그 뉘앙스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은 한국어 화자 가운데서도 서남 지방 사람들일 것이다.
서남 사람들이 잘 쓰는 ‘짠하다’는 표준어 ‘안쓰럽다’와 뜻이 비슷하지만,
그렇다고 고스란히 겹치지는 않는 것 같다.
‘짠하다’에는 안쓰러움과 애틋함이 버무려져 있다.
‘짠하다’는 마음 가장 깊숙한 곳에서 우러나오는 연민의 형용사다.

일곱, 아내.

‘아내’라는 말이 내게 아름답게 들리는 것은 내가 남자이기 때문일 테다.
요즘엔 젊은 세대고 나이든 세대고 할 것 없이 ‘아내’ 대신 ‘와이프’라는 말을 즐겨 쓰는 듯하다.
힘센 언어에서 차용된 외래어는 그 비릿한 사용 맥락에도 불구하고 우아하게 들리게 마련이지만,
이 ‘와이프’는 전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한국어 속에 끼여든 ‘와이프’는 그 본적지에서와 달리 천박하게 들린다.
나만 그런가?

여덟, 가을.

지방에 따라 ‘가을’이라는 말이 ‘가을걷이’ 곧 ‘추수’의 뜻으로도 쓰이고 있는 걸 보면
한국인들의 상상 속에서 가을은 무엇보다도 결실의 계절이었던 모양이다.
그러나 가을은 또 조락(凋落)의 계절이기도 하다.
미국 사람들의 ‘가을’(fall)에는 그 조락의 상상력이 또렷하다.
성함의 끝과 쇠함의 시작이 맞닿아 있는 때가 가을이다.

아홉, 넋.

넋에 대한 믿음을 지닌 사람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것은 공식 통계와 상관없이 인류의 종교적 심성이 점점 옅어지고 있다는 뜻일 테다.
넋이 과학의 까탈스러운 눈 앞에 제 모습을 번듯하게 드러내지 못했으니,
이것은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넋이 사라진 세상은 얼마나 허전할 것인가. 얼마나 납작할 것인가.

열, 술.

이 말이 아름답게 들리는 것인지 이 말이 가리키는 물질이 아름답게 보이는 것인지
섞갈릴 때가 있다.
아무튼 ‘술’이라는 말만큼 술처럼 들리는 말이 내가 아는 외국어에는 없다.
‘술’의 마지막 소리인 설측음 /ㄹ/은 술의 물리적 성질을, 다시 말해 액체로서의 유동성을,
그 흐름의 본성을 드러내는 것처럼 들린다.
한편 그 첫 소리인 치마찰음 /ㅅ/은 술이 예컨대 증류수 같은 무미 무취 무색의 액체가 아니라
빛깔과 향기와 맛을 지닌 매력적인 액체라는 것을 상상하게 한다.

그리고 그 두 자음을 이어주는 원순 후설모음 /ㅜ/는, 내게, 술은 내뱉는 것이 아니라 마시는 것이라는 점을,
또 마시되 예컨대 모음 /ㅏ/가 연상시켰을 수도 있듯 폭음하는 것이 아니라 절제 있게
느릿느릿 마시는 것이라는 점을 함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므로 술은 뇌세포에 상처를 낼 정도로, 또는 그렇게까지는 아니더라도 청각이 흐릿해져
서로 악다구니를 써대거나, 과장된, 또는 가장된 애상의 몸짓이 펄럭일 정도로 마실 일이 아니다.
이 말을 해 놓고 보니 쑥스럽긴 하다.
나 자신 ‘음주인’의 직업윤리를 잘 지키지 못하고 있으니.
 


From: 한국일보  고종석의 한국어 산책 [말들의 풍경]  
출처 : 꿈꾸는 정원에서
글쓴이 : 희라 원글보기
메모 :